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유명한 작품인 <최후의 만찬>은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작품들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성경의 신약성서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를 묘사하고 있는데 미술사에서 유비쿼터스 주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오늘날 <최후의 만찬>의 가치, 즉, 작품의 가격이 궁금하지 않으시나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4억 5천만 달러의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한화로 계산하면 약 5,701억 5,000만 원에 달하는 금액인데요. 어마무시한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최후의 만찬>은 세계에서 가장 상징적인 작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확한 가격이나 가치를 부여하기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더군다나 이 작품은 판매된 적이 없기 때문에 그 가치를 추정하기 위한 벤치마크가 만들어지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후의 만찬"
<최후의 만찬>의 가격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그렇다면 이제는 작품의 의미와 내용, 그리고 <최후의 만찬> 작품 뒤에 숨겨진 상징, 작품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에서도 이야기하였듯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천문학적인 가격을 자랑합니다. 레오나르도의 걸작이 그만큼 훌륭한 가치를 지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모여서 높은 평가를 받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최후의 만찬> 의미, 내용 해석
시간의 한 순간, 한 순간을 연속적으로 표현
<최후의 만찬>은 예수가 체포되어 십자가에 못박히기 전, 제자들과 함께 마지막으로 식사를 하는 장면을 보여줍니다. 이것은 복음서에 기록된 사건에 대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시각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다 금욕적인 장면을 묘사하는 다른 예술가들의 묘사 방식과 달리, 레오나르도는 예수가 제자들 중 한 명이 자신을 배반할 것이라고 말한 직후의 순간을 정확히 포착하고 싶어했습니다.
따라서, 다빈치의 그림은 사도들의 분노, 공포, 충격의 연속적인 반응을 묘사합니다.
예를 들어, 예수님의 왼쪽에 서 있는 빌립은 자신을 가리키며 아마도 “주님, 저는 아닙니다.”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손을 대접에 담그는 제자가 배반자라고 대답하셨습니다. 동시에 예수와 유다는 식탁 위의 접시를 향해 손을 뻗어 그를 배반자로 가리키고 있습니다.
성체의 탄생(성만찬)
성만찬은 현대 교회의 근본적인 측면입니다. 다빈치의 해석에 따르면 작품은 성체 탄생 직전의 순간을 묘사합니다 . 예수님은 빵 한 조각과 포도주 잔을 가리키며 성만찬 예식을 제정할 것을 제안하시는 한편, 앞으로 어떻게 빵과 포도주를 먹고 마실 것인지에 대해 명확한 지침을 주시는 모습을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후의 만찬>의 기적같은 생명력
불행하게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품 일부가 손상되었습니다. 작품을 마무리하기도 전에 벽에서 페인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화가인 다빈치가 직접 작품을 수리해야만 했습니다. 게다가 수년에 걸쳐 <최후의 만찬>은 무너지고, 파손되고, 폭격당하고, 여러 번 복원되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작품을 복원한 것은 거의 기적적인 일로 여겨진다고 합니다. 수 세기가 지난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다빈치의 놀라운 <최후의 만찬>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은 여러 차례에 걸친 복원 작업과 약간의 행운 덕분에 가능한 일입니다.
<최후의 만찬> 이면의 상징
작품의 상징에 대한 추측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학자들은 유다의 팔꿈치로 여겨지는 인물 근처에 엎질러진 소금 용기의 의미에 대해 논쟁을 벌이기도 하였습니다. 엎질러진 소금은 종교, 상실 또는 세상의 소금이신 예수를 상징할 수 있습니다. 유다 앞에 쏟아진 소금도 그의 배반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또는 예수님을 배반하기로 결심한 사람이라는 불운의 징조로 볼 수도 있습니다.
작품에서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담아낸 음식 종류도 수년 동안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작품 감상자들은 식탁 위의 생선이 장어인지 청어인지 논쟁을 벌였습니다. 이탈리아어로 뱀장어는 'aringa'이지만 철자가 'aringa'이면 '세뇌'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북부 이탈리아 방언에서 청어는 'renga'이며 종교를 부인하는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것은 사도 베드로가 자신을 모른다고 부인한 것에 대한 예수의 성서 예언과 일치합니다.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블로 피카소 예술 작품 <게르니카> 특징과 상징 (0) | 2022.12.28 |
---|---|
조르주 피에르 쇠라의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작품 의미 해석 (0) | 2022.12.27 |
구스타프 클림트 작품 <키스> 해석 (0) | 2022.12.26 |
산드로 보티첼리의 <비너스의 탄생> 특징과 기법 (1) | 2022.12.24 |
장 프랑수아 밀레의 <이삭 줍는 여인들> 감상과 느낀점 (0) | 2022.12.23 |